이 글은 김영한의 스프링 강의를 보고 작성한 글입니다
@Autowired 필드 명 매칭
@Qualifier -> @Qualifier끼리 매칭 -> 빈 이름 매칭
@Primary 사용
현재 상황
@Component public class Fix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private int discountFixAmount = 1000; // 1000원 할인 @Override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 if(member.getGrade() == Grade.VIP){ return discountFixAmount; }else{ return 0; } } }
@Component
public class Fix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private int discountFixAmount = 1000; // 1000원 할인
@Override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
if(member.getGrade() == Grade.VIP){
return discountFixAmount;
}else{
return 0;
}
}
}
같은 타입인 두개의 컴포넌트가 있어서 오류가 나는 상황
Autowired 필드 명 매칭
@Autowired
는 타입 매칭을 시도하고, 이때 여러 빈이 있으면 필드 이름, 파라미터 이름으로 빈 이름을 추가 매칭한다.
@Autowired // 생성자가 한개라서 생략 가능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이랬던 생성자를
@Autowired // 생성자가 한개라서 생략 가능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rete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reteDiscountPolicy;
}
이렇게 바꿔준다
@Autowired 매칭 정리
- 타입매칭
- 타입매칭의 결과가 2개이상일 때 필드명,파라미터명으로 빈이름 매칭
@Qualifier 사용
@Qualifier
는 추가 구분자를 붙여주는 방법이다. 주입시 추가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지 빈 이름을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사용법
package hello.core.discount;
import hello.core.member.Grad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Qualifi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Qualifier("mainDiscountPolicy")
public class Rate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private int discountPercent = 10; // 10% 할인
@Override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
if(member.getGrade() == Grade.VIP){
return price * discountPercent / 100; // 할인된 금액이 나와야함
}else{
return 0;
}
}
}
별칭을 붙여주고...
```java
@Autowired // 생성자가 한개라서 생략 가능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Qualifier("main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이렇게 붙여주면 된다
@Qualifier
로 주입할 때 @Qualifier("mainDiscountPolicy")
를 못찾으면 어떻게 될까? 그러면 mainDiscountPolicy라는 이름의 스프링 빈을 추가로 찾는다. 하지만 경험상 @Qualifier
는 @Qualifier
를 찾 는 용도로만 사용하는게 명확하고 좋다.
즉, Qualifier와 그냥 빈을 섞어서 쓰지말자!
@Qualifier 정리
- @Qualifier끼리 매칭
- 빈이름매칭
NoSuchBeanDefinitionException
예외 발생@Primary 사용 (편해서 자주 사용함)
@Primary
는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이다. @Autowired 시에 여러 빈이 매칭되면@Primary
가 우선권을 가진다.package hello.core.discount;
import hello.core.member.Grad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Qualifier;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Primary;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Primary
public class Rate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private int discountPercent = 10; // 10% 할인
@Override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
if(member.getGrade() == Grade.VIP){
return price * discountPercent / 100; // 할인된 금액이 나와야함
}else{
return 0;
}
}
}
```
이렇게 @Primary
를 적으면 Primary 어노테이션이 있는 빈이 먼저 실행된다
우선순위
@Primary < @Qulifier
스프링은 자동보다 수동이, 좁은 범위 보다는 넓은 범위의 우선순위가 높다!
'Spring,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스트 코드 애너테이션 종류 (0) | 2023.10.13 |
---|---|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의 흐름 (0) | 2023.10.13 |
스프링 빈 탐색위치 (0) | 2023.10.11 |
스프링 컨테이너 (0) | 2023.10.03 |
객체지향과 스프링 (0) | 2023.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