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이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 사용되는 사물이나 작업을 DBMS의 데이터베이스 개체로 옮기기 위한 과정
1-1. 모델링의 간단한 예시
인터넷 쇼핑몰을 구현한다고 가정해보자. 쇼핑몰에서 필요한 부분은 고객과 직원 등의 사람이 필요하다. 그럼 '사람'을 어떻게 데이터베이스에 넣을까?
정답은 사람을 나타낼 수 있는 특징들을 추출해서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야한다. 슈퍼마켓의 고객, 물건, 직원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각각의 테이블이라는 개체로 변환한다.
사람
신분을 증명하기 위한 것들이 필요하다
1. 이름
2. 주민등록 번호
3. 주소
등등..
제품
1. 제품 이름
2. 가격
3. 제조 일자
4. 제조 회사
5. 재고량
등등..
1-2. 데이터베이스에는 정답이 없다!!
건물 설계도를 그리는 사람에 따라 다양한 결과물이 나오는 것 처럼 데이터베이스에도 정답은 없다. 하지만 좋은 모델링과 나쁜 모델링은 분명히 존재한다.
2.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 데이터 : 하나하나의 단편적인 정보
- 테이블 : 회원이나 제품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표 형태로 표현한 것
- 데이터베이스 : 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소
- DBMS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 예를 들면 MySQL이 있다.
- 열(Column) : 테이블의 세로
- 열 이름 : 각 열을 구분하기 위한 이름. 열 이름은 각 테이블 내에서는 서로 달라야한다.
- 데이터 형식 : 열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 테이블을 생성할 때 열 이름과 함께 저장함
- 행(Row) : 실질적인 진짜 데이터. 예를 들어서 귀로/나얼/경기도 부천시 중동 이 하나의 행으로 행 데이터라고도 부릅니다
- 기본키(primary key, PK) : 각 행을 구분하는 유일 한 열. 기본키는 중복도 안되고 비어있어도 안됨. 또한 기본키는 테이블당 하나만 유효함
-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 DBMS와 사람이 소통하기 위한 언어
반응형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깊게 알아보는 select 문 (0) | 2024.01.16 |
---|---|
SELECT-FROM-WHERE (0) | 2024.01.09 |
데이터베이스 개체 (0) | 2023.12.30 |
SQL 문 (0) | 2023.07.23 |
바커표기법 (0) | 2023.07.18 |